국내산업동향
2014년 기준 생산실적 8조9700억원, 전년대비 12.5%
수출은 전년대비 40.3% 급증, 최근 5년 평균성장율 34.4%
對중국수출은 2014년 전년대비 79.5%성장, 전체수출 중 54.8%
국내,외 기술환경변화
국내화장품산업을 견인하는 중국시장의 안전성 등 규제강화
중국의 나고야의정서 가입 및 발효(9월)로 화장품원료 불안감
국내,외 기술환경변화
기능성화장품의 급성장(18.3%), 식약처 기능성 분야 3개→11개 확대
천연화장품 소비자 선호(중국 한약재, 한국 자생식물, 대체제개발)
"화학이 견인하던 뷰티산업, 이제는 바이오·천연물이 주도"(2015년 LG경제연구원)
아시아/태평양, 특히 중국 중요성 증대, 미국이은 2대시장, 9.3%성장
국내화장품산업을 견인하는 중국시장의 안전성 등 규제강화
중국의 나고야의정서 가입 및 발효(9월)로 화장품원료 불안감
국내,외 기술환경변화
기능성화장품의 급성장(18.3%), 식약처 기능성 분야 3개→11개 확대
천연화장품 소비자 선호(중국 한약재, 한국 자생식물, 대체제개발)
"화학이 견인하던 뷰티산업, 이제는 바이오·천연물이 주도"(2015년 LG경제연구원)
아시아/태평양, 특히 중국 중요성 증대, 미국이은 2대시장, 9.3%성장
-
"바이오헬스산업 육성민간협의체" 구성, 화장품분과 운영 및 청와대 보고
화장품기술경쟁력 제고(피부과학원천기술개발, 기업연구개발지원)
화장품사업인프라강화(원료전문우수기업지정, 디자인·용기개발지원)
해외시장진출지원(천연유기농·할랄인증제품개발, 현지 체험관)
화장품뷰티산업연계(화장품·메이크업·헤어·전시이벤트 접목사업)
-
"바이오산업육성위원회" 구성 및 운영
바이오소재·농생명·라이프케어(화장품뷰티) 3개 분과 운영
제2의 탄소산업육성을 위한 분과별 국비사업 발굴
"새만금한중FTA산단특화 바이오뷰티산업육성방안"연구용역소재부품분야 : 효능안전성평가센터, 포장재지원센터, 소재재배단지조성, 소재생물자원DB구축, 소재개발지원
생산분야 : 생산가공시설구축, 아파트형공장건립, 융합플라자건립, 해외시장통관서비스플랫폼구축
서비스분야 : 바이오뷰티 테마파크조성, 전문인력양성
-
대표적인 국내 산업육성사례, 제주TP 중심 10년간 1,000억원 투자
투자분야 : 제주원료중심, 소재개발, 제품개발지원, 기업사업화지원
시설투자 : CGMP, 기업유치빌딩, 공동연구장비, 공동제조생산장비
핵심기업 : 아모레퍼스픽(녹차), 바이오랜드(제주천연원료제조사)
기업규모 : 100개사 입주(제조20, 판매80), 주로 제주사무실(원료수급)
-
청주 LG생활건강과 100개 관련기업, 오송바이오재단 중심
투자분야 : 생명바비오의약산업 연계 코스메슈티컬
시설투자 : CGMP, 인체적용시험연구센터
-
남원과 동일선상의 후발주자, 한방산업진흥원 중심
투자분야 :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
시설투자 : CGMP, 기능성화장품개발센터, 제조생산지원센터
발전비전
1단계(산업육성 기반 구축기)2015년~2022년
- - 기업 40개/매출 400억원/ 고용 300명
- - 화장품산업 기반 인프라 / 연구개발 / 기업지원 체계확립
2단계(산업집적화기)2023년~2027년
- - 기업 40개/매출 400억원/ 고용 300명
- - 화장품산업 기반 인프라 / 연구개발 / 기업지원 체계확립
1단계(산업육성 기반 구축기)2015년~2022년
- - 기업 40개/매출 400억원/ 고용 300명
- - 화장품산업 기반 인프라 / 연구개발 / 기업지원 체계확립
-
발전방향
지리산 천연물 이용 기능성 천연화장품산업 집적화단지 조성
허브재배산업 기반 천연화장품 원료재배 및 원료가공산업 육성
바이오기술 이용 화장품·이너뷰티식품 융합형 바이오뷰티산업 육성
-
발전목표
천연화장품 기술실용화 산업기술개발
화장품업체 R&D 및 사업화 기업지원
기업입주 산업환경 조성 및 산업단지 활성화
-
실천전략
지리산 천연물 이용 소재·가공기술·제품 개발, 화장품원료 등재
화장품기업 기술이전, 기술지도교육, 품질관리인증, 사업화, 브랜드마케팅지원
화장품산업인프라조성, CGMP운영활성화, 기업유치지원
-
성과목표
화장품 산업총생산액 : 650억원
화장품기업 입주 및 고용창출 : 50개사, 650명
화장품 CGMP 가동률 : 70%
화장품 소재개발 및 제품개발 : 화장품원료 100개 등재, 제품개발 100개